본문 바로가기
이야기

2022년,2023년 양력날짜의 24절기 표

by &38^^@& 2021. 8. 13.

절기란 태양의 움직임을 24 등분하여 가장 낮이긴 하루부터 가장 밤이긴 날까지 계절의 변화를 농사에 적용하려고 정하였습니다. 양력을 기준으로 하였지만 매년 조금씩 달라지며 2022년, 2023년 양력 날짜에 따른 24절기 표를 참고하세요.

 

절기란

우리가 많이 찾는 24절기는 농사를 지을 때 음력(달)만으로는 계절의 변화를 정확히 알기 어려워 태양의 움직임(양력)을 살펴 정하게 되었습니다.

 

  • 24절기는 양력 기준으로 매달 두 번씩 돌아오며 매월 4~8일에 오는 절기와, 19~23일에 있는 중기로 나누어집니다.

 

  • 우리가 사용하는 24절기의 기준이 되는 위치는 중국의 베이징입니다. 지구가 태양을 360도 한 바퀴 회전하는 것을 24로  나누어 각 15도씩 움직일 때마다 하나의 절기를 정하였습니다.
  • 이는 천문학과 관련되어 있으며 정확하게 각도와 일자가 일치하지 않아, 매년 조금씩 변합니다.

 

  • 예를 들자면 2021년의 입춘은 2월 3일 23시 59분이며 기준이 날짜가 아니라 순간입니다.
  • 2022년의 입춘은 2월 4일 5시 51분, 2023년의 입춘은 2월 4일 11시 43분인 것처럼 시간을 보면 순차적인데 날짜로 따지면 매번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위치상 북경과는 차이가 있어서 계절에 따른 차이가 일부 발생하며, 오래전에 우리나라 사정에 맞춰 '농사직설'이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절기가 맞지 않는 이유

  • 위치가 북경을 기준으로 한 태양의 움직임으로 우리나라와 차이가 있습니다.
  • 그해 가장 추운 날을 찾은 것이 아니라 24등분 한 그날의 특징이 많이 춥다거나, 눈이 많이 오는 것일 뿐입니다.
  • 낮이 가장 긴 하지가 태양으로부터 에너지를 가장 많이 받으나 실제 기온은 여러 요소가 복합되어 다릅니다.
  • 대한(1월 20일)이 소한(1월 6일) 집에 와서 얼어 죽었다는 속담이 있듯 2021년 1월 8일이 -18.6도로 가장 추웠습니다.(서울)

2022년(2023년) 24절기(양력 기준)

양력 기준이며 매년 같거나 비슷한 날짜입니다. 날짜 위가 2022년 아래는 2023년입니다.

날짜(양력) 절기 내    용
2월 4일
2월 4일
입춘 계절의 시작, 봄이 시작되는 날
콩을 뿌려 악귀를 쫓고, 좋은 글귀를 써붙입니다.
2월19일
2월19일
우수 내리던 눈이 그치고 비가 옵니다.
대동강 물이 풀리고 기러기는 북쪽으로 날아갑니다.
3월 5일
3월 6일
경칩 겨울잠을 자던 개구리가 땅 밖으로 나오는 날
3월 21일
3월 21일
춘분 봄의 한 가운데, 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요.
씨뿌릴 준비를 합니다. 꽃샘 추위가 와요.
4월 5일
4월 5일
청명 화사한 봄을 알립니다.
나무심기에 좋습니다.
4월20일
4월20일
곡우 봄비에 새싹이 움틉니다.
나무에 물이 가장 많은 시기로 수액을 받습니다.
5월 5일
5월 6일
입하 더위가 시작되는 여름입니다.
농작물이 자라기 시작합니다.
5월21일
5월21일
소만 식물이 푸르게 대지를 덮습니다.
모내기를 시작합니다.
6월 6일
6월 6일
망종 씨를 뿌려 한해 농사를 시작합니다.
보리를 수확하고 모내기가 한창입니다.
6월21일
6월21일
하지 여름의 한 가운데, 낮의 길이가 가장 길어요.
햇감자가 나옵니다.
7월 7일
7월 7일
소서 작은 더위 비가 많이 옵니다
7월 23일
7월 23일
대서 큰 더위 장마가 옵니다.
8월 7일
8월 8일
입추 사색의 계절 가을입니다.
김장용 무. 배추를 심습니다.
8월23일
8월23일
처서 더위는 한 풀 꺽였습니다.
조상묘를 찾아 벌초를 합니다.
9월 8일
9월 8일
백로 일교차가 커지며 이슬이 맺히는 날
쾌청한 날씨가 계속되며, 늦은 태풍이 오기도 합니다.
9월23일
9월23일
추분 가을의 한 가운데, 밤과 낮의 길이가 같아요.
논밭의 곡식을 거두어 들입니다.
10월 8일
10월 8일
한로 이슬도 차가워 졌습니다.
추수로 바쁘며, 국화전과 국화술을 먹습니다.
10월23일
10월24일
상강 서리가 내립니다.
추수가 끝나가고, 겨울잠에 들어갑니다.
11월 7일
11월 8일
입동 추운 겨울에 접어 들었습니다. 김장준비를 합니다.
11월22일
11월22일
소설  첫 눈이 내립니다. 바람이 많이 불어요. 
12월 7일
12월 7일
대설 눈다운 큰 눈이 내립니다.
눈이 많이 오면 다음해 풍년이 옵니다. 
12월22일
12월22일
동지 겨울의 절정, 밤이 가장 길어요.
팥죽을 쑤어 이웃과 나누어 먹고 악귀를 쫓습니다.
1월 6일 소한 작은 추위
대한이 소한집에 놀러 왔다 얼어 죽었다는 1년중 가장 추워요.
1월 20일 대한 큰 추위

24절기표
24절기표

우리나라의 고유 절기

우리나라의 절기는 '잡절'이라 하며 음력 날짜를 기준으로 정하여 매년 무척 많이 다릅니다.

날짜 위는 2022년 아래는 2023년입니다.

날짜
(양력)
절기 내     용
2월 15일
2월 5일
대보름 정월 대보름
4월 6일
4월 6일
한식 동지로 부터 105일째 되는 날
종묘에 제향을 올리고, 성묘를 지냅니다.
6월3일
6월22일
단오 음력 5월 5일 중오절, 천중절, 수릿날
절편을 먹고, 창포물에 머리감기, 그네뛰기, 씨름을 합니다.
7월16일
7월11일
초복 소서 전후
7월26일
7월21일
중복 대서 전후 
8월15일
8월10일
말복 입추 전후
9월10일
9월29일
추석 음력 8월 15일 중추절, 한가위 송편과, 차례, 벌초와 성묘를 합니다. 

2022년, 2023년도 양력 날짜에 따른 24절기 표와 날짜를 살펴보았습니다.

 

A. 무료 VPN 크롬용 우회 접속 프로그램 Free VPN for Chrome

 

B. 양파 보관방법 (+백종원식) 손질법

 

C. 이사전 체크리스트 pdf 다운로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