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사람들이 생각하는 MBTI 성향별 팩트 폭격과 다른 나라인 미국, 일본, 독일 중국 사람들은 평가하는 MBTI 성향과 선호하는 경우와 싫어하는 이유를 찾아봤습니다. 일반적인 경향으로 사람을 단정 짓는 데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MBTI 팩트 폭격, 다른 나라 사람들은 어떻게 평가할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MBTI 성향별 세계인들의 평가와 선호도 비교
나라별로 뚜렷한 색깔이 있어서 선호하는 MBTI 성향도 다른데 모든 나라가 비슷하게 선호는 성향도 있지만 반대로 어떤 나라는 싫어하는데 어떤 나라는 선호하는 성향도 있어서 재미있네요. 절대적인 기준이 아님을 다시 한번 밝힙니다.

1. ISTJ "원리원칙 끝판왕"
융통성 제로, 매뉴얼 맹신, 꼰대력 풀충전 (하지만 일은 제일 잘함), "철두철미한 관리자봇" 🤖
ⓐ 미국에서는 신뢰할 수 있지만, 융통성이 부족하다고 평가, ⓑ 일본에서는 성실, 책임감, 규율 준수로 선호함 ⓒ 독일에서는 효율적, 정확, 책임감이 강하다고 선호함 ⓓ 중국에서는 책임감, 규율 준수, 근면 성실을 높이 평가함
2. ISFJ "착한데 할 말 다 하는 유형"
착한 척 오지지만, 뒤에서 호박씨 까는 거 제일 좋아함. "다정한 서포터, 숨은 조력자" 🛡️
ⓐ 미국에서는 헌신적이지만, 자기주장이 약하다고 평가 ⓑ 일본에서는 헌신적, 협조적, 배려심이 있어서 선호함 ⓒ 독일에서는 꼼꼼하지만, 창의성이 부족하다고 평가 ⓓ 중국에서는 헌신적, 협조적, 배려심을 높이 평가함
3. INFJ "겉은 온순, 속은 복잡한 전략가"
세상 혼자 심각, 남들은 다 속물 같고 나만 고결한 척. "속을 알 수 없는 현자의 돌" 🔮
ⓐ 미국에서는 이상주의적이지만, 비현실적이라고 여김 ⓑ 일본에서는 긍정적이지만, 지나치게 이상적이라고 평가 ⓒ 독일에서는 이상주의적이지만, 비판적 사고가 부족하다고 평가 ⓓ 중국에서는 이상주의적이지만, 현실 감각이 부족하다고 평가

4. INTJ "혼자 조용히 세계 정복 중"
지적 허영심 끝판왕, 아는 척은 우주 최강, 현실감은 제로. "미래를 설계하는 마스터마인드" 🧠
ⓐ 미국에서는 똑똑하지만, 사회성이 부족하다고 평가 ⓑ 일본에서는 능력은 인정받지만, 융통성이 부족하다고 평가 ⓒ 독일에서는 논리적, 분석적, 전략적이라고 선호함 ⓓ 중국에서는 능력은 인정받지만, 개인주의적 성향을 싫어함
5. ISTP "쿨하고 말없는 현실주의자"
귀찮음이 삶의 모토, 건들면 X 됨. "감정 없는 해결사, 냉철한 맥가이버" 🔧
ⓐ 미국에서는 독립적이지만, 팀워크에 어려움을 느낀다고 평가 ⓑ 일본에서는 기술적인 능력은 인정받지만, 소통 능력이 부족하다고 평가 ⓒ 독일에서는 문제 해결 능력은 인정받지만, 감정 표현에 서툴다고 평가 ⓓ 중국에서는 기술적인 능력은 인정받지만, 협동심이 부족하다고 평가
6. ISFP "예술 감성 충만한 자유 영혼"
감성팔이 장인, 현실은 시궁창, 이상만 높음. "감성 충만한 방랑자" 🎨
ⓐ 미국에서는 창의적이지만, 목표 의식이 부족하다고 평가 ⓑ 일본에서는 예술적인 재능은 인정받지만, 현실 감각이 부족하다고 평가 ⓒ 독일에서는 예술적인 재능은 인정받지만, 실용성이 부족하다고 평가 ⓓ 중국에서는 예술적인 재능은 인정받지만, 실용성이 부족하다고 평가
7. INFP "멍 때리다가 갑자기 철학함"
망상에 빠져 사는 몽상가, 현실 적응력 0%. "몽상가, 세상을 바꾸고 싶은 시인" 🌿
ⓐ 미국에서는 열정적이지만, 감정 기복이 심하다고 평가 ⓑ 일본에서는 창의적이지만, 사회생활에 적응하기 어려워한다고 평가 ⓒ 독일에서는 창의적이지만, 비판적 사고가 부족하다고 평가 ⓓ 중국에서는 창의적이지만, 사회생활 적응력이 부족하다고 평가
8. INTP "생각이 너무 많아 실천이 어려움"
방구석 철학자, 말만 많고 실천력 부족. "따뜻한 로봇, 호기심 가득한 연구자" 🤖💡
ⓐ 미국에서는 분석적이지만, 행동력이 부족하다고 평가 ⓑ 일본에서는 똑똑하지만, 고집이 세다고 여김 ⓒ 독일에서는 지적 호기심, 분석력, 논리력이 있다고 선호함 ⓓ 중국에서는 똑똑하지만, 고집이 세다고 평가
9. ESTP "인생을 실전으로 사는 행동파"
핵인싸 코스프레, 속은 텅 빈 강정. "인생은 실전, 행동하는 해결사" ⚡
ⓐ 미국에서는 사교적이고 적응력이 빠르지만, 깊이가 부족하다고 평가 ⓑ 일본에서는 지나치게 자유분방하다고 싫어함 ⓒ 독일에서는 지나치게 충동적이라고 여김 ⓓ 중국에서는 지나치게 자유분방하다고 평가
10. ESFP "분위기 메이커 핵인싸"
흥청망청 인생 탕진, 내일은 없다! "텐션 MAX, 인생 즐기는 파티플래너" 🎉
ⓐ 미국에서는 활기차지만, 충동적이라고 평가 ⓑ 일본에서는 경솔하고 가볍다고 싫어함 ⓒ 독일에서는 가볍고 비효율적이라고 여김 ⓓ 중국에서는 경솔하고 가볍다고 평가
11. ENFP "가끔 멘털 나가는 해피 바이러스"
관심병 환자, 칭찬에 목마른 관종. "에너지 폭발하는 자유로운 영혼" 🌈
ⓐ 미국에서는 창의적이고 열정적이지만, 산만하다고 평가 (선호함) ⓑ 일본에서는 튀는 행동을 싫어하는 문화라서 싫어함 ⓒ 독일에서는 지나치게 감정적이라고 평가 ⓓ 중국에서는 튀는 행동을 싫어하는 문화라 싫어함
12. ENTP "말싸움하면 절대 안 지는 토론왕"
말싸움 절대 안 짐, 궤변의 신. "토론의 신, 논리로 싸우는 장난꾸러기" 🎤
ⓐ 미국에서는 똑똑하고 도전적이지만, 논쟁을 좋아한다고 평가 (선호함) ⓑ 일본에서는 논쟁적이고 도전적인 성향은 싫어함 ⓒ 독일에서는 논쟁적이고 반항적이라고 평가 ⓓ 중국에서는 논쟁적이고 도전적인 성향은 싫어함
13. ESTJ "일 안 하면 불안한 워커홀릭"
꼰대 of 꼰대, 답정너, 자기 합리화 끝판왕. "일 못하는 거 못 참는 최강 리더" 📋
ⓐ 미국에서는 리더십 있고 실용적이지만, 독선적이라고 평가 (선호함) ⓑ 일본에서는 리더십은 인정받지만, 융통성이 부족하다고 평가 ⓒ 독일에서는 긍정적이지만, 융통성이 부족하다고 평가 ⓓ 중국에서는 리더십, 조직력, 추진력을 높이 평가함
14. ESFJ "남 눈치 기가 막히게 잘 보는 타입"
오지랖 대마왕, 남 걱정하다가 자기 인생 망함. "인싸력 만렙, 분위기 조율사" 🎭
ⓐ 미국에서는 사교적이고 협조적이지만, 남에게 의존적이라고 평가 ⓑ 일본에서는 사교적, 협조적, 배려심이 강해서 선호함 ⓒ 독일에서는 지나치게 감정적이라고 평가 ⓓ 중국에서는 사교적, 협조적, 배려심을 높이 평가함

15. ENFJ "리더 기질 넘치는 사람관리 전문가"
선동과 날조의 달인, 이상주의에 갇힌 현실 부적응자. "사람을 이끄는 천생 리더" 🌟
ⓐ 미국에서는 카리스마 있고 설득력이 뛰어나지만, 지나치게 이상적이라고 평가 (선호함) ⓑ 일본에서는 지나치게 이상적이라고 평가 ⓒ 독일에서는 지나치게 이상적이라고 평가 ⓓ 중국에서는 긍정적이지만, 지나치게 이상적이라고 평가
16. ENTJ "야망 가득, 목표 지향적"
독불장군, 리더십은 있지만 공감 능력 부족. "야망 가득한 CEO형 전략가" 🚀
ⓐ 미국에서는 전략적이고 결단력이 있지만, 냉정하다고 평가 (선호함) ⓑ 일본에서는 지나치게 강압적이라고 평가함 ⓒ 독일에서는 결단력, 리더십, 효율성을 높이 평가하여 선호함 ⓓ 중국에서는 리더십, 결단력, 전략적 사고를 높이 평가함
관련 글
이상은 우리나라 사람들의 일반적인 MBTI 성향에 대한 팩트 폭격 글귀로 다른 나라 사람들은 어떻게 평가하는지 비교한 글이었습니다.
'팩트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애 초기 MBTI별 썸 탈때 5가지 특징 이해하기 (0) | 2025.04.10 |
---|---|
미세플라스틱의 3가지 심각한 문제점과 해결 방안 11가지 사례 (0) | 2025.04.04 |
전국 초·중·고등학생 지역/나이별 평균 키 비교 (0) | 2024.04.04 |
192개국 국가별 의사수/간호사수 국가 순위 통계 (0) | 2024.03.28 |
암 발생 종류별 순위와 시도별 순위 (0) | 2024.0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