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팩트 자료

근로계약서 작성 방법과 표준근로계약서 양식 받기

by &38^^@& 2025. 4. 28.

표준 근로계약서 작성 방법과 표준근로계약서 8가지 양식받기, 알바 계약서 작성 방법과 표준 양식, 초과근로수당 계산 방법, 주휴 수당 계산 방법입니다.

 

근로계약서 작성 방법과 표준근로계약서 양식받기

 

 

근로계약서 작성 방법 예시

표준근로계약서를 작성하고 한부씩 나눠 가져야 합니다.

 

사장님이 작성해야 하는 이유

  • 작성하지 않으면 최대 500만 원 이하의 벌금, 단시간 근로자 (알바 포함)와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으면 500만 원 이하 과태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벌금은 형사 처벌, 과태료는 조금 약한 행정 처벌입니다.
  • 기간을 정하고 근로 계약서를 작성하면 해당 직원이 지각, 무단결근, 근무 태만하면 계약 연장을 하지 않으므로서 자동 해고하는 장점과 소송으로부터 보호됩니다.

근로자가 작성해야 하는 이유

  • 벌금은 없으나 근로 조건 관련 분쟁과 법적 보호가 어렵고 실업급여받기가 복잡합니다.

수습기간 임금 감액 조건

  • 1년 이상 근로계약을 하고 최대 3개월 수습기간에 최저임금 10%까지 감액하여 지급할 수 있습니다.

 

 

계약서는 아래 내용이 포함되어야 하며 사진과 같이 구체적인 작성 방법입니다.

표준계약서-양식
표준계약서 양식


표준근로계약서

 

"홍길동 (이하 “사업주”라 함)과(와) 김철수 (이하 “근로자”라 함)은 다음과 같이 근로계약을 체결한다."

 

1. 근로계약기간 : 2025년 4월 25일부터 2025년 7월 30일까지

근로 계약기간을 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근로 시작일”만 기재하며, 회사와 근로자가 협의하여 결정한 일하기로 한 기간을 적습니다. 

 

2. 근 무 장 소 : 일을 하기로 한 장소를 적습니다. 보통은 사업장 주소지만 지점, 출장소에서 일하는 경우 분쟁을 없애기 위해 정확하게 합니다. 

 

3. 업무의 내용 : 제품 조립 라인 작업과 기타 회사가 지시하는 업무
어떤 일을 할지에 대한 내용을 적되 포괄적인 내용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4. 소정근로시간 :     시     분부터     시     분까지 (휴게시간 :     시     분~     시     분)

노사가 법정근로시간 내(하루 8시간, 주 40시간)에서 하루에 몇 시간을 일할지 정한 시간을 기재, 휴게시간은 4시간에 30분, 8시간인 경우 1시간 이상을 주도록 소정근로시간 내에서 기재함


5. 근무일/휴일 : 매주   일(또는 매일 단위) 근무, 주휴일 매주 요일
일주일 중 어떤 날에 근무할지를 명기하며, 주 중 근무하기로 한날을 만근 하였을 경우 부여하는 유급휴일(주휴일)을 어느 요일로 할지 결정하여 명기

 

6. 임 금
  - 월(일, 시간)급 : ________________ 원

  - 상여금 : 있음 (    ) ________________ 원, 없음 (    )

  - 기타 급여(제수당 등) : 있음 (    ), 없음 (    )
_____________________원,     _____________________원
_____________________원,     _____________________원

  - 임금지급일 : 매월(매주 또는 매일) _______일(휴일의 경우는 전일 지급)

  - 지급방법 : 근로자에게 직접지급(    ), 근로자 명의 예금통장에 입금(    )

 

임금을 시간급으로 정할지, 주급으로 정할지, 월급으로 정할지 결정하여 그 금액 적고, 상여금이 있으면 그 내용과 금액에 대해서도 적습니다. 가족수당, 자격증 수당 등 지급하기로 한 수당이 있으면 해당 내용에 대해 기재합니다.
월급은 매월 언제 지급할 것인지에 대해 기재하고 계좌로 지급할 것인지 등에 대해 협의하여 기재합니다.


7. 연차유급휴가
  - 연차유급휴가는 근로기준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부여함

①1년간 총근로일의 80% 이상을 출근하였 다면 연차 휴가를 15 일주고, 1년 초과하면 2년마다 1일씩 추가하며 한도는 최대 25일

②1년 미만 직원이나 1년간 80% 미만 출근했다면 1개월 개근하면 연차 휴가 1일을 줍니다.

 

8. 사회보험 적용여부(해당란에 체크)

□ 고용보험     □ 산재보험     □ 국민연금     □ 건강보험

사회보험 적용에 대한 해당 내용을 체크합니다.

 

9. 근로계약서 교부
- 사업주는 근로계약을 체결함과 동시에 본 계약서를 사본하여 근로자의 교부요구와 관계없이 근로자에게 교부함(근로기준법 제17조 이행)

근로기준법 제17조에 따라 근로계약 체결 시 근로자에게 교부하여야 함을 알려주는 내용입니다.

 

10. 근로계약, 취업규칙 등의 성실한 이행의무
- 사업주와 근로자는 각자가 근로계약, 취업규칙, 단체협약을 지키고 성실하게 이행하여야 함

의무에 대해 알리는 내용입니다.


11. 기타
  - 이 계약에 정함이 없는 사항은 근로기준법령에 의함

년        월        일

(사업주) 사업체명 :              (전화 :               )
주 소 :                                      
대 표 자 :                      (서명)        

(근로자) 주 소 :                                      
연 락 처 :                                      
성 명 :                      (서명)        


관련 글

농담? 혹은 성희롱? 직장 내 성희롱 판단 기준과 사례 분석

 

재미있는 일반 상식 OX 퀴즈 100가지 문제와 해설(유퀴즈?)

 

연애 초기 MBTI별 썸 탈 때 5가지 특징 이해하기


 

표준근로계약서 양식 다운로드하기

아래 계약서 파일에는 8개의 계약서 양식이 들어 있으며, 고용노동부에서 배포하는 파일입니다.

1. 표준근로계약서(기간의 정함이 없는 경우), 2. 표준근로계약서(기간의 정함이 있는 경우), 3. 연소근로자(18세 미만인 자) 표준근로계약서, 4. 친권자(후견인) 동의서, 5. 건설일용근로자 표준근로계약서, 6. 단시간근로자 표준근로계약서 + 사례, 7. 표준근로계약서 Standard Labor Contract, 8. 표준근로계약서(농업ㆍ축산업ㆍ어업 분야) Standard Labor Contract (For Agriculture, Livestock and Fishery Sectors) 

표준근로계약서(서식).hwp
0.13MB

 

 

단시간근로자(알바) 표준근로계약서

아르바이트생 계약서는 위와 비슷하지만 아래 사진과 같이 근로일과 근로시간을 세부적으로 작성해야 하는 차이가 있습니다.

 

휴게시간은 4시간에 30분, 8시간에 1시간 이상을 정해야 하며 시급은 지급하지 않습니다. 휴게 시간에는 사업장 내부에 있던 외부에 나가서 쉬든 근로자 마음대로입니다.

 

단시간-근로자-근로계약서
단시간 근로자 근로계약서

 

초과근로에 대한 가산임금률

단시간 근로자의 경우, 법정 근로시간(1일 8시간, 주 40시간) 이내라도 약정한 소정근로시간을 초과하여 근로하면 가산 임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상시 근로자 수 5인 미만의 사업장에서는 연장 근로에 대한 가산 임금 지급 의무가 없지만 야간 근로(오후 10시 ~ 다음날 오전 6시)에 대해서는 가산 임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하루 4시간 근무하기로 했다가 2시간 더 해서 6시간 일한 경우 법적 근로시간 하루 8시간 이내지만 계약한 시간보다 추가로 일했으므로 50% 더 가산임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 시급 10,030원 x 4시간 + 10,030 x 2시간 x 1.5 (가산임금률) = 평소 40,120원에 추가 근무는 30,090 = 70,210원

 

고용노동부-근로계약서
고용노동부 근로계약서

 

주휴수당 계산방법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근로자가 1주일 동안 결근하지 않고 출근하면 주 1회 이상 휴일을 받습니다. 이때 지급받는 수당이 주휴수당입니다. 주 5일, 주 40시간 미만 근로자라도 주 15시간 이상 근로하면 시간에 비례하여 지급합니다.

 

주휴수당 안 지키면? 근로기준법 제110조(벌칙)에 따라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주일에 3일 20시간 일하기로 계약한 사람이 3일 20시간 일 했다면?

  • 주휴수당 = (20시간/40시간) x 8시간 x 시급
  • 여기서 20시간은 근로자가 일한 시간, 40시간은 법정 근로시간 주 40시간, 8시간은 하루 근로 시간, 시급은 근로자와 계약한 시급

이상은 근로계약서 작성 방법과 표준근로계약서 양식받기였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