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와 서식이 있는 한글 파일을 엑셀에서 불러오는 방법으로 한글에서 호환이 되는 형식으로 저장을 해야 합니다. 다른 이름 저장 방법은 '인터넷 문서' 형식이며 엑셀에서 찾아보기로 파일 열기를 하면 인터넷 문서가 보이며 서식이 깨지지 않습니다.
한글파일을 엑셀 호환되게 변환 저장하는 방법
표와 서식이 있는 한글 파일을 엑셀에서 호환되는 형식으로 저장하는 방법은 인터넷 문서인 htm 형식으로 저장하는 방법입니다.
-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기를 선택
- 파일 형식을 "인터넷 문서 (htm, html)"로 선택하여 저장
- 문자 코드 형식을 "한국 KS"로 선택
한글 엑셀에서 불러오기
엑셀에서 한글 웹문서로 저장한 파일을 불러오는 방법입니다.
- 열기 - 찾아보기를 선택하여 웹문서 형식의 파일 형식을 선택됩니다.
- 파일을 선택하여 불러오기 하면 아래와 같이 표가 깨지지 않고 잘 불러옵니다.
한글에서 만든 표 내부에 그림이 들어있는 경우는 그림 위치가 이동되어 불러오는데 약간의 수정은 필요합니다.
표가 깨지는 경우
한글 버전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저장 - 인터넷 문서를 기본으로 지원하지 않는 버전이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엑셀에서 불러오면 서식이 깨지는 경우가 확인되었습니다.
해결 방법은 아래 사진과 같이 한글 설정에서 저장 형식을 "인터넷 문서" 형식을 추가하면 됩니다.
설정 방법은 메뉴 ▶ 도구 ▶ 환경설정 ▶ 파일 ▶ 저장 파일 형식에 인터넷 문서 추가를 체크하고 "설정"
이렇게 변경하고 저장을 하면 엑셀에서 표가 깨지지 않고 잘 불러오는데, 버전에 따라 환경설정이 다른 경우가 있으며 "파일"이 없는 경우는 "코드 형식"에 다양한 옵션이 있습니다.
이상은 한글파일을 엑셀에서 불러오기 위해 형식을 변환하는 방법과 환경 설정 방법입니다.
https://31way.blogspot.com/2023/01/fonts.html
댓글